한국통역번역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제1장 총칙 제 1 조 본 위원회는 한국통역번역학회 편집위원회라 칭한다. 제 2 조 본 위원회는 한국통역번역학회 회칙 15조에 의거하여 학회 내에 둔다. 제 3 조 본 위원회가 관장하는 학회지 『통역과 번역』 및 『FORUM: International Journal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은 다음과 같은 지침 하에 발행된다. 1) 『통역과 번역』은 매년 4월 10일, 8월 10일, 12월 10일 연간 3회 발행하고 『FORUM: International Journal fo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은 봄, 가을 연간 2회 발행한다. 2) 『통역과 번역』의 논문 접수 마감은 발행 예정일의 2개월 이전이며, Forum은 논문을 수시로 접수한다.
제2장 구성 제 1 조 학회지의 투고 자격은 본 학회의 정회원으로 한다. 제 2 조 투고 분야는 통역학 및 번역학, 연구방법, 통역 및 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 전반으로 한다. 제 3 조 투고된 논문의 게재 여부, 게재 순서 및 체제에 관해서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제 4 조 편집위원회는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연구업적이 우수한 정회원 10인 내외로 구성한다. 편집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1항 언어영역 고려: 투고되는 논문을 심사할 수 있게 각 언어별 전문가를 고루 선정한다. 2항 전공영역 고려: 통역 번역의 전 세부 영역을 심사할 수 있게 각 영역 전문가를 고루 선정한다. 3항 전국성 및 국제성 고려: 국내외의 통역 번역 연구의 활성화와 원활한 정보 교류를 위해서 각 지역의 전문가를 고르게 선정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외국의 전문가도 포함한다. 제 5 조 편집위원회 위원장은 학회지 논문의 심사 및 편집을 총괄한다. 편집위원장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3장 회의 제 1 조 편집위원회는 학술지 투고 논문의 심사를 위해 심사위원의 선정과 게재 논문 결정을 위해 학술지 발간 기간에 맞춰 정기적으로 소집한다. 제 2 조 편집위원회는 편집위원장의 소집에 의해 편집위원의 과반수 이상으로 성원이 되고, 출석 위원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4장 심사기준 제 1 조 제목과 내용의 합치성: 논문의 제목과 본문의 내용이 합치해야 한다. 제 2 조 내용의 적절성: 통역 및 전문 번역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창의적인 비판, 실험분석, 새로운 제안 등의 내용이어야 한다. 제 3 조 내용의 창의성: 논문의 내용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은 새롭고 참신한 것이어야 한다. 제 4 조 연구 방법의 적절성: 논문은 연구 문제의 제기, 설계 및 결과 분석 과정이 연구 방법에 적절해야 한다. 제 5 조 구성 및 전개의 논리성: 내용의 구성과 전개는 통역 번역 이론을 근거로 논리적이고 명료해야 한다. 제 6 조 형식의 적합성: 논문은 본 학술지 투고 규정에 적합한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제 7 조 자료의 신뢰성/인용의 정확성: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믿을 만하며 정확하게 인용 및 제시되어야 한다. 제 8 조 학문적 기여도: 논문의 내용은 통역 번역의 이론과 실제를 선도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제 9 조 논문의 완성도 : 논문의 연구 질문과 문헌 조사, 연구 방법 및 제시된 결론이 타당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제 10 조 영문 초록의 문법성과 표현의 적절성: 영문 초록은 문법에 맞게 작성되어야 하며 표현이 적절해야 한다.
제5장 심사절차 제 1 조 접수: 논문접수 마감일까지 학회 온라인 논문투고 사이트(http:// submission.ksci.or.kr)를 통해 논문을 접수한다. 다만 논문의 투고 규정이나 작성 요령을 지키지 않은 논문은 접수하지 않고 반송한다. 제 2 조 심사위원 선정: 편집위원장은 접수된 논문을 전공별로 분류하고 심사 가능 영역을 미리 파악하여 심사위원을 선정한다. 심사위원은 편집위원을 중심으로 해당 분야에서 학술 활동이 뛰어난 회원 중에서 3인을 선정하되, 필요한 경우 비회원도 심사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다. 이때 동지의 투고자는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 3 조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은 심사 기준에 의거해 논문 심사를 하며 항목당 배점은 아래와 같다. 1) 제목과 내용의 합치성 (10점) 2) 내용의 적절성 (10점) 3) 내용의 창의성 (10점) 4) 연구 방법의 적절성 (10점) 5) 구성 및 전개의 논리성 (10점) 6) 형식의 적합성 (10점) 7) 자료의 신뢰성/인용의 정확성 (10점) 8) 학문적 기여도 (10점) 9) 논문의 완성도 (15점) 10) 영문 초록의 문법성과 표현의 적절성 (5점) 제 4 조 심사판정: 편집위원회는 심사위원 3인이 내린 심사 결과의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 80점 이상: 게재가 - 70~79점: 수정 후 게재 - 69점 미만: 게재 불가 단, 심사 결과가 ‘수정 후 게재’인 논문의 경우 당호에 반드시 실리지 않을 수 있으며, 편집위원회에서 회의를 거쳐 게재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최종 결정은 투고자에게 온라인으로 통보한다. 제 5 조 '수정 후 게재'의 판정을 받은 논문의 경우, 제출자가 반드시 수정지시 사항을 참고해서 논문을 수정한 후, 수정 건의 반영 결과를 별도로 정리한 ‘논문수정이행서’를 수정한 원고와 함께 제출하여 담당 편집위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만일 심사위원의 지적 사항에 승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근거를 밝힌 반론서를 제출해야 한다.
제6장 투고규정 제 1 조 본지의 게재 대상은 통역학 및 번역학, 연구방법, 통역 및 번역 교육에 관한 연구논문으로 하되, 인접 학문의 이론을 접목한 통역번역 관련 연구논문도 포함된다. 필요한 경우 앞서 명기한 분야와 관련된 학술적 성격의 심포지엄 또는 세미나의 발표문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조 기고문의 성격 및 형태는 순수 이론적인 논문, 실증분석 논문, 사례연구, 응용연구 및 정책 분석, 서평 등 방법론상의 제약을 두지 않는다. 기고문은 독창적이어야 하며, 다른 학술지에 이미 발표되었거나 발표 예정이어서는 안 된다. 제 3 조 (논문저자 윤리) 저자는 자신이 실제로 수행하거나 공헌한 연구에 대해서만 저자로서 논문을 발표할 수 있으며, 공동논문의 경우 논문 저자의 순서는 연구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정확하게 반영한다. 석사 또는 박사 학위 논문이나 학위 취득 예정 논문을 수정하여 학회지에 게재할 경우 지도교수가 제 1 저자가 될 수 없다. 이 경우에도 논문저자(들)는 투고 논문이 학위논문 또는 학위 취득 예정 논문의 수정임을 반드시 밝혀야 한다. 제 4 조 원고 분량은 학술논문의 경우 A4용지 20페이지 내외로 하되, A4 용지 25페이지를 초과하여서는 안 된다. 25페이지를 초과할 경우 1페이지당 1만원을 추가 게재료로 납부한다. 서평은 A4용지 4~5페이지 내외로 한다. 제 5 조 원고는 아래한글 또는 Microsoft Office Word로 작성하여야 하며, 학회지 논문 샘플(한글 및 워드 버전)을 활용할 수 있다. 투고 논문은 저자의 인적사항(논문제목, 이름, 소속학교, 직위, 학교/자택 주소, 연구실/자택/휴대폰 전화번호, 이메일주소)이 포함된 논문과 인적사항을 삭제한 심사용 논문을 학회 온라인 논문투고 사이트(http://submission.ksci.or.kr)에 업로드한다. 제 6 조 심사 후 수정을 거쳐 게재가 확정된 논문의 경우 수정된 논문 파일과 ‘논문수정이행서’ 파일을 학회 온라인 논문투고 사이트(http://sub mission.ksci.or.kr)에 재업로드한다. 제 7 조 기고문의 채택 여부, 게재 순서 및 체재에 관한 사항은 소정의 절차를 거쳐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제 8 조 원고 투고시 심사료를 편당 3만원을 납부하고, 게재 결정이 된 경우 다음과 같이 게재료를 납부한다. 게재료: 연구기금 지원 대상 논문 30만원, 일반논문 20만원 게재료 송금 계좌번호: 우리은행 1005-002-973363 (예금주: 한국국제회의통역학회) 제 9 조 (저작권)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저작권, 판권 및 게재 권한은 한국통역번역학회가 소유한다.
제7장 집필양식 1. 기고문은 아래한글 또는 MS Word로 작성한다. 2. 원고는 한국어 또는 영어로 작성한다. 원고 작성 시 본문에서 언급되는 문헌 표기는 다음 규정을 지킨다. 1) 인물명 표기를 비롯한 고유명사 표기 - 한국어 논문 본문 내용에 처음 인용될 때는 우리말 음가 표기를 한 후, 괄호 안에 원어 표기(영어, 일어, 중국어, 또는 로마자 음가)를 병기한다. 이 때 외국어 이름은 성만 표기하고 한국어 이름은 성과 이름 모두 표기한다. 예: 베누티(Venuti, 1998)는 자국화 번역에 관하여 논하였다. 이태형(1999)은 동시통역의 시간양상에 관한 고찰에서... - 영어 논문에 한국인 이름이 인용될 때에는 성만 표기한다. 예: Lee (1999) analyzed SI data and measured... - 한국어 논문에서 외국인 인물명이 재차 등장할 때 두 번째부터 우리말 음가 표기만 사용한다. 이때 고유명사의 발음 표기는 해당 언어의 외래어 표기 원칙에 따른다. 예: 동시통역 연구 결과를 통시적으로 분석한 푀히하커는... - 본문에 소개되지 않는 괄호 안의 외국 인물명은 첫 인용 시 괄호 안에 우리말 음가를 표기하고 띄어쓰기 없이 재차 괄호 안에 원어 표기를 병기한다. 예: 번역행위의 분류에는 연구마다 차이점을 보인다(단세트(Dancette), 1997; 키랄리(Kiraly), 1995; 로셔(Lo?rscher), 1991). - 두 번째 인용부터는 우리말 음가만 표기한다. 2) 인용 문구의 표기 - 직접 인용의 경우 원문이 영어 등 외국어로 쓰인 경우라도 본문에는 우리말 번역을 사용하고, 해당 원문은 필요한 경우 각주 등 적절한 형태로 표기한다. 예: 베누티는 “번역서가 유창하게 읽히면 읽힐수록 번역가는 더욱 더 비가시적인 존재가 되며, 원본의 작가와 의미는 더욱 더 가시성을 띤다”고 주장한다(1995: 2). 3) 한국어 논문 본문에 인용되는 논문 제목은 홑낫표 안에, 출판된 논문 및 단행본(서적, 잡지 등) 제목은 겹낫표 안에 표시한다. 이는 참고문헌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다만 영문 초록에 인용되는 논문 제목은 큰따옴표 안에, 출판된 논문 및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예: 라드미랄의 「Epist?mologie de la traduction」(번역의 인식론)은 번역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바스넷(Bassnett, 2011)은 『Reflections on Translation』에서 ... 4) 영어 논문 본문에 인용되는 논문 제목은 큰따옴표 안에, 출판된 논문 및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참고문헌에서는 논문제목은 큰따옴표 없이 보통글씨체로, 출판된 논문 및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즉 APA 기준을 따른다.) 예: In his article “Epist?mologie de la traduction”, L’admiral discusses ... In Reflections on Translation, Bassnett argues that ... 5) 한국어 논문의 본문에서 인용되는 영어 이외의 논문이나 서적 제목 등은 홑낫표, 겹낫표에 바로 이어 띄어쓰기 없이 괄호 표시를 하고 우리말 직역이나 대강의 의미를 함께 제시한다. 예: 라드미랄의 「Epist?mologie de la traduction」(번역의 인식론)은 번역에 대해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6) 영어 제목 표기의 경우, 논문 제목은 첫 단어의 첫 글자, 세미콜론 뒤에 오는 첫 단어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한다. 단행본의 제목은 관사, 전치사를 제외하고 주요 단어의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한다. 단, 단행본의 제목이 관사, 전치사로 시작할 경우, 이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 논문제목의 경우 Metonymic language use as a student translation problem: A case study 단행본 제목의 경우 Methods and Strategies of Process Research 7) 간접 인용: (아래 ①②③⑥의 경우에 쪽수는 괄호 안에 표기할 수 있다.) ① 단일 저자: 첫 등장 시: 하우스(House, 1980)에 따르면... 재 등장 시: 하우스(1980)는... House (1980) stated that... as described in Ellis (1997: 119) In Zamel’s study, ...(1992: 201). ② 저자 2명: 한국어 논문에서의 저자는 ‘과/와’로 연결하며 영어 논문에서의 저자는 문장 내에서는 ‘and’로, 괄호 안에서는 ‘&’으로 연결한다. 최정화와 정연일(1997)의 보고서에 따르면... ...라고 보고되고 있다(최정화와 정연일, 1997). 해리스와 셔우드(Harris & Sherwood, 1978)는 이에 대해... ...와 같이 주장하였다(해리스와 셔우드, 1978). Harris and Sherwood (1978) suggested that... ...was suggested (Harris & Sherwood, 1978). ③ 저자 3명 이상: 한국어 논문의 경우는 ‘(저자) 외 00명’으로, 영어 논문의 경우는 ‘(author) et al.’로 표기한다. 정길정 외 2명(1999)은 ... 쿡 외 2명(1974)은 실험에서 ... Cook et al.(1974) asserted that ... ④ 연구 2편 이상 인용: 가나다 또는 알파벳 순으로 나열하며 세미콜론으로 분류한다. 한글 저자와 외국어 저자를 함께 인용하는 경우에는 한글 저자부터 먼저 나열한다. ... 담화 중심의 언어이다(박승윤, 1991; 채완, 1991). 번역행위의 분류에는 연구마다 다소 차이점을 보인다(단세트(Dancette), 1997; 키랄리(Kiraly), 1995; 로셔(Lo?rscher), 1991). (주의: 첫 인용일 경우 우리말 음가와 영어 표기 병기, 재차 인용된 경우 우리말 음가로만 이름 표기) ⑤ 동일 저자의 연구를 2편 이상 인용: 연도순으로 나열하며, 같은 연도일 경우는 연도 다음에 a, b, c를 사용한다. (최정화, 1997, 1998) (셀레스코비치(Seleskovitch), 1978, 1989) (블룸(Bloom), 1987a, 1987b) ⑥ 단체를 인용할 경우: 단체명(학회, 연구소, 학교 등)을 사용한다. Retired officers retain access to all of the university’s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facilities (Columbia University, 1987: 54). ⑦ 인터뷰, 전화, 이메일 등 개인적 대화 내용은 본문 내에서는 날짜와 함께 인용할 수 있지만 참고문헌에는 명시하지 않는다. A. P. Smith also claimed that many of her students had difficulties with APA style (personal communication, November 3, 2002). Jesse Moore (telephone conversation, April 17, 1989) confirmed that the ideas. . . 8) 직접인용: (아래 ①②의 경우는 인용 부분을 큰따옴표 안에 넣고 괄호 안에 쪽수를 반드시 명시한다.) ① 단일 쪽수 하우스(House)에 따르면, “번역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이어 제5의 기본 외국어 능력을 말한다”(1980: 20). Emily Bronte “expressed increasing hostility for the world of human relationships, whether sexual or social” (Taylor, 1988: 11). ② 여러 쪽수 하우스(House)에 따르면, “번역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이어 제5의 기본 외국어 능력을 말한다”(1980: 20-21). ...strategy that requires more delicate skills (Cook, 1971: 100-102). ③ 인용문의 단어가 40단어 이상일 경우 줄을 바꾸어 인용하며 맨 마지막 마침표 다음에 한 자 띄고 괄호 안에 쪽수를 명시한다. 하우스(House)는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Translators must know how to translate. This component refers to the conceptual framework...(1990: 5)
9) 문헌의 이차적 인용: 문헌에서 인용하였지만 본인이 직접 읽지 않은 경우, 즉 secondary source에서 인용하는 경우 한국어 논문에서는 괄호 안에 ‘저자명, 연도0000에서 인용’, 영어 논문에서는 괄호 안에 ‘as cited in ...’과 같이 실제 참조 자료(secondary source)를 표기하며, 참고문헌에서는 괄호 안의 저작만 제시한다. 예: In Seidenberg and McClelland’s study (as cited in Coltheart, Curtis, Atkins & Haller, 1993), ... 티나 쿠코넨(Tiina Kukkonen, 1989: 3), 마르자-리타 오포(Marja-Riitta Offor, 1993: 35) 등이 핀란드 통신사(Finnish News Agency) 소속 국제 뉴스 담당 기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들은 자신의 일을 ‘번역’이 아닌 ‘편집(editing)’ 혹은 ‘외국의 소재를 기반으로 한 핀란드어 기사의 생산(production of Finnish stories based on foreign items)’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Vuorinen, 1995: 169에서 인용). 3. 편집용지는 가로 11㎝, 세로 17㎝로 작성한다. A4 기준으로 여백은 다음과 같다. 위: 57㎜, 아래: 60㎜, 왼쪽?오른쪽: 50㎜, 머리말: 10㎜, 꼬리말: 0㎜ 4. 초록은 모두 영어로 작성하며 200단어 내외의 한 단락으로 한다. 초록 하단에 Keywords를 영어 단어 5개로 명시한다. 5. 본문의 상하위 제목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기호를 사용하며, I, 1, 1)까지는 상하로 한 줄씩 띄어 쓰고, 그 이하부터는 위로는 한 줄을 띄어 쓰며, 아래로는 띄어쓰기 없이 본문을 이어쓴다. Ⅰ, Ⅱ, Ⅲ … 1, 2, 3 … 1), 2), 3) (1),(2),(3) … ①, ②, ③ … 6. 각주는 해당면의 하단에 위치시키고 각주번호는 반드시 1) 2) 3)의 형식으로 한다. 7. 부록은 참고문헌 다음에 위치한다. 8. 글자 속성 및 문단 속성은 다음과 같다. ① 논문 제목 : 신명조 15point 진하게(bold체), 가운데 정렬 ② 초록 : 신명조 8.5point, 왼?오른여백 5ch, 줄간격 130% ③ 본문 : 신명조 10point, 들여쓰기 2자, 줄간격 160% 인용문 및 각주 : 9point(인용문은 왼?오른여백을 5ch로 한다) ④ 본문 내의 상하위 제목 : 들여쓰기 없이 왼쪽 정렬로 하며 글자 속성은 다음과 같다. I, II, III …: 태고딕 12point 1, 2, 3 …: 중고딕 11point 1), 2), 3) …: 신명조 10point (1),(2),(3) …: 신명조 10point 들여쓰기 2ch ①, ②, ③ …: 신명조 10point 들여쓰기 2ch ⑤ 참고문헌 : 제목 “참고문헌”은 태고딕 11point로 가운데 정렬하며 list는 신명조 10 point, 내어쓰기 6ch, 줄간격 160% ⑥ 부록 : 제목 “부록” 및 부록의 제목은 중고딕 10point로 가운데 정렬하며 내용은 신명조 9 point, 들여쓰기 2자, 줄간격 160% ⑦ 본문 내 모든 서체의 장평은 96%, 자간은 ?4, 낱말 간격은 30%로 한다. 9. 본문과 각주에서 언급된 문헌은 APA style에 따라 표기하며, 반드시 참고문헌에서 밝힌다. 그러나 언급되지 않은 문헌은 참고문헌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10. 참고문헌의 작성 1) 참고문헌은 성격상 반드시 논문작성에 직접 사용한 문헌만을 명시하되, APA style을 적용한다. 2) 참고문헌 배치는 한국어 문헌, 동양 문헌, 서양 문헌의 순을 따르며, 한국어 문헌과 동양 문헌은 가나다순, 서양 문헌은 알파벳순으로 나열한다. 3) 논문을 영어로 작성할 경우, 한국어 문헌이나 동양 문헌도 한글로 표기하지 않고 로마자 표기에 따라 음가 표기를 먼저 한 후 직역한 의미를 괄호 안에 병기한다. 이때 한글 음가 표기의 경우 음절 표시 기호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이탤릭체 처리한다. 예: Choi, Yongjai. (1982). Oe-gug-eo gyo-seop-ui wol-li(Principle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Seoul: Koreawon. 참고문헌 작성 예시: ① 저서: 영어 저서명은 이탤릭체로 하며, 매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반면, 한국어 저서명은 겹낫표를 사용한다. 최용재. (1982). 『외국어 교습의 원리』. 서울: 고려원. Baker, M. (1998).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London & New York: Routledge. Ericsson, K. A., & Simon, H. A. (1984). Protocol Analysis: Verbal reports as data. Cambridge, MA.: MIT Press. ② 학술지: 영어 논문의 경우, 제목과 부제목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하며, 학술지명과 권 번호는 이탤릭체로 한다. 그러나, 저서, 단행본과 학술지명은 매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반면, 한국논문의 제목은 홑낫표를 사용하고 권 번호는 기울임 없이 작성한다. 김충회. (1989). 「현행 KS 완성형 한글 코드의 문제점」. 『국어생활』, 18, 167-189. Barik, H. C. (1973). Simultaneous interpretation: Temporal and quantitative data. Language and Speech, 16(3), 237-270. 임순정, 한미선. (2014). 「구글 번역의 사례연구: 번역품질과 번역단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15(1), 177-209. 정길정, 민찬규, 박매란. (1999). 「원어민 영어교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초중등학교 영어협동수업 현황조사연구」. 『영어교육』, 54(2), 201-227. Hampshire, S., & Salvia, C. P. (2010). Translation and the Internet: evaluating the quality of free online machine translators. Quaderns: Revista de Traducci?, (17), 197-209. Cook, M., Smith, J., & Lalljee, M. G. (1974). Filled pauses and syntactic complexity. Language and Speech, 17(1), 11-16. ③ 편저: 편저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하며 제목과 부제목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한다. 장이나 논문이 발췌된 쪽수를 괄호 안에 기재한다. 저자명은 ‘이름(이니셜), 성’ 순으로 하며, 편저된 책 자체의 경우는 ‘성, 이름’ 순으로 한다. 단일저자 편저는 ‘Ed.’를 복수저자 편저는 ‘Eds.’로 표기한다. 이화자. (1999). 「어휘지도의 효율적인 방안」. 이홍수(편저). 『영어 교수?학습 방법론』(pp. 185-204). 서울: 한국문화사. Seleskovitch, D. (1989). Teaching conference interpreting. In P. Krawtschke (Ed.), Translator and Interpreter Training and Foreign Language Pedagogy (pp. 67-88). Binghamt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Rutherford, W. E. (1982). Second language teaching. In R. Wardhaugh & H. D. Brown (Eds.), A Survey of Applied Linguistics (pp. 138-163).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Van de Vijver, F., & Leung, K. (2011). Equivalence and bias: A review of concepts, models, and data analytic procedures. In D. Matsumoto, G. Kasper & F. Van de Vijver (Eds.), Cross-cultural Research Methods in Psychology (pp. 17-4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Faerch, C., & Kasper, G. (Eds.). (1987). Introspection in Second Language Research.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Creech, J. (1975). Radiology and Technology of the Absurd (3rd ed.). Boston: Houghton-Mifflin. ④ 학회지에 게재 예정인 논문: 나경희. (출판예정). Investigation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behaviors through literature study. Foreign Languages Education. Smith, R. W., Huber, R. A., & Shotsberger, G. (in press). The impact of standards guided equity and problem solving institute on participating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North Carolina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⑤ 미출판 학위논문: 영어 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한다. 반면, 한국 논문의 제목은 겹낫표를 사용한다. 유귀옥. (1997).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Almeida, D. M. (1990).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Consequences for fathers’ stress and father-child rel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Victoria, British Columbia, Canada. ⑥ 학술대회 프로시딩 수록 논문: 영어 논문의 제목은 이탤릭체로 한다. 한국논문의 경우는 겹낫표를 사용한다. 신동일. (2001, 2월). 『한국적 상황을 고려한 ACTFL-SOPI 말하기 평가 모형수정』. 한국영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Crespo, C. J. (1998, March). Update on National Data on Asthm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Leesburg, VA. ⑦ 보고서: 최정화, 정연일. (1997). 번역교육 및 번역연구 발전을 위한 연구보고서. U.N.E.S.C.O. 한국위원회. Kimberly-Clark. (2002). Kimberly-Clark (Annual Report). Dallas, TX: Author. ⑧ 인터넷 자료: 참고문헌 표기 시 인터넷 웹사이트 정보는 논문이나 단행본 등의 통상적인 참고자료와 구분하여 맨 하단에 분류하여 표시한다. 참고자료 뒤에 한 줄 띄어 쓰고 <인터넷 자료> 혹은 이라 쓰고 아래로는 띄어쓰기 없이 쓴다. 연구에 사용된 인터넷 웹사이트 정보는 반드시 하이퍼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책이나 학술지의 양식을 따르며 한국어는 ‘출처에서 연월일 검색’, 영어는 ‘Retrieved 날짜 from 출처’와 같이 자료를 구한 날짜와 출처를 명시한다. Gerver, D. (1974a). The effects of noise on the performance of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ccuracy of performance. Acta Psychologica, 38, 159-167. Gerver, D. (1974b). Simultaneous listening and speaking and retention of pros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6, 337-341.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0th ed.). (1993). Springfield, MA: Merriam-Webster. <인터넷 자료> 양승준. (2018). ‘효자 국장’ 실종… 결국 자막 수정한 <어벤져스3>. http://star.hankookilbo.com/News/Read/201808031975071920에서 2019년 10월 13일 검색. 디스패치. (2018). 오역 때문에 韓 관객들만 몰랐던 ‘인피니티 워’의 새로운 사실. https://www.dispatch.co.kr/1277793에서 2018년 7월 25일 검색. 이것, 저것, 그것, 어벤져스. (2018). <어벤져스: 인피니티워> 오역정리. https://blog.naver.com/cinassica/221268311264에서 2018년 6월 25일 검색. Degelman, D., & Harris, M. L. (2000). APA style essentials. Retrieved May 18, 2000, from Vanguard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Web site: http://www.vanguard. edu/faculty/ddegelman/index.cfm?doc_id= 796(웹문서) VandenBos, G., Knapp, S., & Doe, J. (2001). Role of reference elements in the selection of resources by psychology undergraduates. Journal of Bibliographic Research, 5, 117-123. Retrieved October 13, 2001, from http://jbr. org/articles.html(웹상의 학회논문) Nielsen, M. E. (n.d.). Notable people in psychology of religion. Retrieved August 3, 2001, from http://www.psywww.com/ psyrelig/psyrelpr.htm(날짜가 없는 경우) GVU’s 8th WWW user survey. (n.d.). Retrieved August 8, 2000, from http://www.cc.gatech.edu/gvu/usersurveys/survey 1997-10/(날짜와 저자가 없는 경우) ⑨ 잡지: 월간지는 발간 월을, 일간지는 발간 일을 괄호 안에 명시한다. Garner, H. J. (1997, July). Do babies have a universal song? Psychology Today, 102, 70-77. ⑩ 사전이나 단체 등 저자나 편저자가 없는 경우: 교육부. (1992). 『제6차 교육과정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10th ed.). (1993). Springfield, MA: Merriam-Webster. ⑪ 번역되거나 재출판된 경우:(본문 내에서는 연도를 모두 명시한다. 예: Laplace, 1814/1951). 또한, 원저의 출판정보를 함께 명시한다. 베이커, M. (2005). 『말 바꾸기』.(곽은주, 최정아, 진실로 역). 서울: 한국문화사. (Original work published: Baker, M.(1992). In Other Words. London: Routledge) ⑫ 동일저자의 동일연도의 논문을 다수 인용할 경우: 연도 다음에 a, b, c...로 순서를 매긴다. Gerver, D. (1974a). The effects of noise on the performance of simultaneous interpretation: Accuracy of performance. Acta Psychologica, 38, 159-167. Gerver, D. (1974b). Simultaneous listening and speaking and retention of pros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26, 337-341. ⑬ 동일저자의 다수 논문을 인용하되 각각 출판연도가 다를 경우: 더 먼저 출판된 논문을 먼저 표기한다. ⑭ 서평: Baumeister, R. F. (1993). Exposing the self-knowledge myth [Review of the book The Self-knower: A hero under control]. Contemporary Psychology, 38, 466-467. 11. 게재가 판정을 받은 최종논문에는 본문 마지막 쪽 하단 왼쪽에 투고자의 이름, 소속과 직위, 주소, e-mail 주소를 기재한다.
12. 논문 저자가 2인 이상일 경우 투고 시 주 저자를 반드시 표시한다. 부 칙 제 1 조 이 규정은 1998년 4월 18일부터 시행한다. 제 2 조 이 개정 규정은 2020년 4월 10일 발행되는 학회지부터 적용 시행한다. [ 편집규정 다운로드 ] [ 샘풀논문(한글) 다운로드 ] [ 샘플논문(영어) 다운로드 ] |